오늘은 무슨 과학 블로그인가;;
강입자 가속기에서 실험 중인 힉스 입자의 존재가 거의 발견된 걸로 결론날 분위기. 두근두근하군
* 힉스 입자(Higgs Boson )
힉스 입자는 모든 물질의 질량을 결정한다고 추정되는 가상의 입자로 피터 힉스라는 영국물리학자가 제시한 가설입니다.
질량의 기원과 우주 생성 비밀을 밝혀낼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물리학의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다.
힉스 보존은 표준 모형의 유일한 스칼라 입자이다. 자발적 대칭 깨짐을 통해 진공 기대값을 갖게 돼, 유카와 상호작용에 의해 페르미온에 질량을 준다. 이 과정은 힉스 메커니즘 (혹은 힉스 앤더슨 메커니즘)이라고 부른다. - wiki인용
참;; 매번 느끼지만 세상엔 천재가 많다니깐.
* 참고.(나중에 또 까먹을테니..)
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E%89%EC%8A%A4_%EB%B3%B4%EC%A1%B4
http://popsci.hankooki.com/popsci_news/view.php?news1_id=7650&cate=35
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nasseau&logNo=30036205371
강입자 가속기에서 실험 중인 힉스 입자의 존재가 거의 발견된 걸로 결론날 분위기. 두근두근하군
* 힉스 입자(Higgs Boson )
힉스 입자는 모든 물질의 질량을 결정한다고 추정되는 가상의 입자로 피터 힉스라는 영국물리학자가 제시한 가설입니다.
질량의 기원과 우주 생성 비밀을 밝혀낼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물리학의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다.
힉스 보존은 표준 모형의 유일한 스칼라 입자이다. 자발적 대칭 깨짐을 통해 진공 기대값을 갖게 돼, 유카와 상호작용에 의해 페르미온에 질량을 준다. 이 과정은 힉스 메커니즘 (혹은 힉스 앤더슨 메커니즘)이라고 부른다. - wiki인용
참;; 매번 느끼지만 세상엔 천재가 많다니깐.
* 참고.(나중에 또 까먹을테니..)
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E%89%EC%8A%A4_%EB%B3%B4%EC%A1%B4
http://popsci.hankooki.com/popsci_news/view.php?news1_id=7650&cate=35
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nasseau&logNo=30036205371
'Day after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&O A8. (0) | 2012.04.04 |
---|---|
Audition (0) | 2012.02.24 |
세계 화학의 해. (0) | 2011.12.14 |
아. 그냥. 막;; (0) | 2011.12.01 |
LAST pass (0) | 2011.11.29 |